오피스텔 시가표준액 조회 방법

‘돈이 돈을 번다’ 돈돈번입니다. 오늘은 오피스텔 시가표준액 조회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에 많은 정보가 공유되고 있지만 부정확한 정보가 많아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오피스텔 시가표준액 계산식과 조회 방법을 꼼꼼히 알려드릴 테니 잘 따라해보시기 바랍니다.

시가표준액이란?

시가표준액이란 부동산에 대해 재산세를 부과할 때 기준이 되는 금액을 말합니다. 시시각각 변하는 시세대로 세금을 매길 수 없으니 법으로 해당 연도의 땅값과 건물값을 정해주는 개념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땅값(개별공시지가)은 매년 4월 쯤 공시하고 건물값은 6월에 고시됩니다. 해가 바뀌었더라도 해당 연도의 시가표준액이 공시되지 않았다면 전년도 가격으로 적용합니다.

오피스텔 시가표준액 계산식

아쉽게도 오피스텔 시가표준액을 한번에 조회해주는 사이트는 없습니다. 어쩔 수 없이 직접 계산을 해보아야 하는데요. 계산 자체는 전혀 어렵지 않으니 계산식부터 알려드릴게요.

오피스텔 시가표준액 = 토지분 시가표준액 + 건물분 시가표준액
= (개별공시지가 X 대지지분) + 건물분 시가표준액

오피스텔 시가표준액은 토지분 시가표준액과 건물분 시가표준액을 더해서 계산합니다. 토지분은 호실이 차지하고 있는 땅값이고, 건물분은 호실 자체의 값입니다. 땅이 있어야 건물을 지을 수 있으니 땅과 건물을 합쳐서 계산하는 거예요! 그럼 각각 어떻게 구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시가표준액 구하는 방법

토지분 시가표준액

먼저 토지분 시가표준액, 즉 땅값부터 구해볼게요. 토지분 시가표준액은 개별공시지가 X 대지지분이라고 말씀드렸죠. 등기부등본 필요하니 준비해주세요!


1.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에 접속 후 [토지]-[개별공시지가]-[연도별 결정공시지가] 클릭해주세요. 아래 버튼을 누르면 바로 이동합니다.

개별공시지가 확인 링크 버튼

2. 행정구역을 선택해주고 번지수를 입력한 후 검색 버튼 누릅니다. 검색 결과에서 맨 위에 나오는 개별공시지가 메모해주세요.

오피스텔 시가표준액 개별공시지가 조회

3. 등기부등본 표제부에서 대지권비율을 찾습니다. ‘0000분의 00’이라고 되어 있는데요. 뒤의 숫자가 해당 호실이 차지하고 있는 땅의 비중입니다.

등기부등본 대지권비율

4. 개별공시지가에 대지권비율을 곱합니다. 위 등기부등본에는 대지권 비율이 8.41이므로 개별공시지가에 8.41을 곱해주면 토지분 시가표준액이 나옵니다.

건물분 시가표준액

건물분 시가표준액은 다행히(?) 계산할 필요가 없습니다. 서울 소재면 이택스, 서울 이외 지역이면 위택스에서 간단히 조회해볼 수 있는데요. 아래 버튼 누르면 건물분 시가표준액 조회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이택스 연결 버튼
위택스 연결 버튼
오피스텔 시가표준액 건물분 조회

주소와 동호수를 입력하면 이렇게 건물분 시가표준액이 바로 나옵니다.

합산

토지분 시가표준액과 건물분 시가표준액을 구했다면 더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 값이 해당 연도 재산세 등 부과기준이 되는 오피스텔 시가표준액입니다.

구청에 문의하기

만약 이대로 따라하는 게 너무 어렵거나 계산한 게 맞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구청에 전화하는 게 가장 빠릅니다. 오피스텔 소재지 구청의 세무과에 전화하면 알려주십니다. 다만 구청 직원들 역시 이 계산식 그대로 계산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오피스텔 시가표준액 조회하는 방법과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직은 한번에 조회해주는 사이트가 없어서 다소 번거롭지만 어렵지는 않으니 직접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돈이 돈을 번다! 돈돈번’의 다음 이야기 많이 기대해주세요. 아래 글도 읽어보시면 좋습니다 🙂

👉 호갱노노로 법원 경매 물건 쉽게 찾는 방법
👉 부동산 임장 체크리스트 2: 집 내외부 확인

Leave a Comment